728x90
반응형
샘플 데이터를 활용해 실습해본다.
시각화 (Wright Map)
Rasch 분석에서는 응답자 능력과 문항 난이도를 같은 척도에서 비교할 수 있는 Wright Map을 많이 사용한다.
Console에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install.packages("WrightMap")
이후 아래를 입력한다.
✔ 예제 1: 기본 Rasch 모델
아래의 순서대로 Console에 입력한다.
# 필요한 패키지 불러오기
library(eRm)
library(WrightMap)
# 샘플 데이터 생성 (20명 응답자 × 5개 문항, 0=오답, 1=정답)
set.seed(123)
data_matrix <- matrix(sample(1:0, 100, replace=TRUE), nrow=20, ncol=5)
# Rasch 모델 적용 (이분형 Rasch 모델)
rasch_model_erm <- eRm::RM(data_matrix)
# 응답자 능력(Theta) 추정
person_params <- person.parameter(rasch_model_erm)
# Wright Map 시각화 (수정된 인수 이름 사용)
wrightMap(
thetas = person_params$theta.table$`Person Parameter`, # 응답자의 능력 값
thresholds = rasch_model_erm$betapar # 문항 난이도 값
)
Rasch 분석 결과 해석
Rasch 분석 결과에서 주의 깊게 봐야 할 것들:
- 문항 난이도 (Item Difficulty, b 값)
- 값이 클수록 어려운 문항, 작을수록 쉬운 문항
- 적합도 지수 (Infit/Outfit MNSQ)
- 일반적으로 0.7~1.3이면 적절
- 신뢰도 지수 (Person Reliability, Item Reliability)
- 0.8 이상이면 좋은 측정 도구
728x90
반응형
'자기계발 > Rasch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ch 분석 - 7. 내 자료로 문항 난이도 구하기 (0) | 2025.04.01 |
---|---|
Rasch 분석 - 6. Wright Map 해석 (0) | 2025.03.31 |
Rasch 분석 - 4. Rasch 분석 패키지 설치 (0) | 2025.03.31 |
Rasch 분석 - 3. R Studio 설치 (0) | 2025.03.31 |
Rasch 분석 - 2. 무료 프로그램 R 또는 R Studio 설치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