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모아보기/사회

엔비디아 교육센터, 원주 설립

이동네저동네 2025. 5. 21. 11:01
728x90
반응형

개요

  1. 엔비디아 교육센터 원주 설립 소식의 공식성 및 신빙성 확인
  2. 설립 추진 배경과 주요 협력사
  3. 교육센터의 역할과 기대 효과
  4. 향후 일정 및 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
  5. 결론 및 전망
  6. 관련 키워드

엔비디아 교육센터, 원주 설립 소식의 공식성 및 신빙성

최근 강원도 원주에 엔비디아(NVIDIA) 인증 교육센터가 설립된다는 소식이 여러 언론을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됐다. 2025년 5월 20일, 원주시와 엔비디아는 대만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 최초의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설립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원강수 원주시장, 알렉스 추 엔비디아 대만 부총재, 대만 국립과학기술대학교, 에이수스(ASUS), 아이스테이징(iStaging), 루이비통(LOUIS VUITTON) 등 글로벌 기술 선도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는 단순한 지역 발표가 아닌, 엔비디아 본사와 글로벌 파트너들이 직접 참여한 국제적 공식 행사로, 신빙성이 매우 높다.

특히 엔비디아 측 인사(알렉스 추 부총재)가 직접 “원주에서 실습과 교육이 함께 이루어지는 센터를 설립하고, 엔비디아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혀, 단순한 MOU 수준이 아닌 실질적 사업 추진임을 분명히 했다.

설립 추진 배경과 주요 협력사

이번 교육센터 설립은 원주시가 AI·반도체·디지털트윈 등 미래산업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원주시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공약, 디지털헬스케어 혁신 선도사업, 그리고 대만의 AI·반도체 전문기업 아이스테이징과의 협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엔비디아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교육센터 설립에 관심을 가져왔고, 원주시의 적극적인 유치 노력과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며 사업이 급진전됐다.

주요 협력사로는 엔비디아(미국·대만), 대만 국립과학기술대학교, 에이수스, 리드텍(Leadtek), 아이스테이징, 루이비통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대만 국립과학기술대학교는 교육과정 개발과 강사진 네트워크 구축을 담당하며, 대만 반도체 기업 4곳이 실무 교육에 참여한다.

교육센터의 역할과 기대 효과

원주 엔비디아 교육센터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엔비디아가 공식 인증하는 교육기관이다. 옴니버스(Omniverse) 기반 실습, AI·반도체·디지털트윈 등 첨단 분야의 실무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교육 수료생에게는 엔비디아 공식 라이선스가 발급된다. 이는 국내외 취업 연계, 글로벌 기술 인재 양성, R&D 허브 역할까지 포괄한다.

교육센터는 2025년 하반기 임시 운영을 시작으로, 2026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장기교육과정을 개시한다. 1차년도에는 설립 기반 조성, 시범운영, 커리큘럼 설계, 장비 구축, 강사진 확보 등에 집중한다. 이후 정규 교육과정 운영, 산학연 협력체계 확립, 기업 맞춤형 위탁교육 등으로 확대된다.

특히, 엔비디아가 공식 인증하는 반도체 설계 기술, AI, 디지털헬스케어, 로보틱스, 제조 등 5개 분야의 전문 교육과정이 운영될 예정이며, 수료생은 엔비디아 및 글로벌 IT기업 취업 기회도 제공받는다.

향후 일정 및 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

센터는 원주 혁신도시에 들어서며,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가 사업 수행을 맡고, 원주미래산업진흥원이 참여한다. 원주시는 120억 원을 투입해 시설과 기자재를 구축한다. 엔비디아와 대만 국립과학기술대학 등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강사진 파견을 담당한다.

향후 3년간 1,300명 이상을 장·단기 과정으로 교육할 계획이며, 이후에는 상시 운영체계로 전환된다. 이는 지역 내 AI·반도체·디지털헬스케어 등 첨단산업 인력 공급, 관련 기업 유치, 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 등 지역 경제와 산업 발전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및 전망

엔비디아 교육센터의 원주 설립은 단순한 지역 프로젝트가 아니라, 글로벌 AI·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엔비디아가 공식 인증하는 세계 최초의 해외 교육센터라는 점에서 상징성과 실질적 파급력이 매우 크다. 이미 엔비디아 본사와 글로벌 파트너들이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사업 추진을 약속했으며, 구체적 일정과 예산, 협력 기관, 교육 커리큘럼 등이 공개된 만큼, 신빙성은 매우 높다.

향후 센터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면, 원주는 국내외 AI·반도체 인재 양성의 허브로 부상하고, 첨단산업 기업 유치와 지역 경제 활성화의 교두보가 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1. 강원일보, “원주와 글로벌 협력 기대…엔비디아, 원주에 자체 인증교육센터 건립”, 2025.05.20.
  2. 강원일보, “엔비디아 최초의 교육센터 결정까지 노심초사…글로벌 도시 편입한 원주”, 2025.05.20.
  3. 매일경제, “원주 엔비디아교육센터, 글로벌 디지털기술 인재 양성 허브 기대”, 2025.05.21.
  4. 연합뉴스, “원주 엔비디아교육센터, 글로벌 디지털기술 인재 양성 허브 기대”, 2025.05.21.
  5. 네이트뉴스, “원주시, 대한민국 최초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설립”, 2025.05.20.
  6. KBS, “원주에 ‘엔비디아 교육센터’…‘기업 유치 계기’”, 2025.05.20.
  7. 연합뉴스, “원주시, 글로벌 R&D센터 구축…AI디지털산업 국제협력 기반조성”, 2025.05.21.
  8. 춘천MBC, “원주시, 엔비디아와 손잡다! 교육센터 설립”, 2025.05.20.
  9. 연합뉴스,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원주 설립…AI디지털산업 거점도시 도약”, 2025.05.20.
  10. KBS 유튜브, “원주에 '엔비디아 교육센터'…“기업 유치 계기””, 2025.05.20.
  11. 다음뉴스, “원주에 '엔비디아 교육센터'…“기업 유치 계기””, 2025.04.17.

Citations:

  1. https://www.kwnews.co.kr/page/view/2025052017314524541
  2. https://m.kwnews.co.kr/page/view/2025052002285751332
  3. https://stock.mk.co.kr/news/view/751696
  4.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1029800062
  5. https://news.nate.com/view/20250520n33029
  6.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58777
  7.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1028500062
  8. https://chmbc.co.kr/article/GdzfQ12IEd3GmcOPtch
  9. https://www.yna.co.kr/view/AKR20250520133500062
  10. https://www.youtube.com/watch?v=sOA9KIRJaRQ
  11. https://v.daum.net/v/20250521075837351
  12. https://v.daum.net/v/20250520173312550
  13. https://news.ufl.edu/2020/07/nvidia-partnership/
  14. https://www.nocutnews.co.kr/news/6342865
  15. https://www.nvidia.com/en-in/training/
  16. https://www.mk.co.kr/en/society/11318095
  17. https://www.ktc.re.kr/web_eunited/board/view_season_02.asp?pagen=2364&sno=3306
  18. https://www.g1tv.co.kr/news/?mid=1_207_6&newsid=328134
  19. http://www.th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39
  20. https://www.youtube.com/watch?v=dQ9TAGjXToE
  21. http://www.k-trend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290
  22. https://news.nate.com/view/20250520n33186
  23. https://www.k-trend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29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