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Rasch분석

Rasch 분석 - 9. Item reliability

이동네저동네 2025. 4. 28. 21:47
728x90
반응형
library(TAM)
library(readxl)

# 데이터 불러오기
data <- read_excel("A_Rasch_x7-2.xlsx")
items <- data[,5:30]  # D~S열 선택

# Rasch 모델 적합
mod <- tam.mml(items, irtmodel="1PL")

# 문항 통계 추출
item_diff <- mod$xsi$xsi        # 난이도
item_se <- mod$xsi$se.xsi       # 표준오차

# 신뢰도 계산
item_var <- var(item_diff)
item_reliability <- item_var / (item_var + mean(item_se^2))

# 결과 출력
cat("Item Reliability:", round(item_reliability,3))

 

 

Item Reliability 값 범위별 해석 가이드

Item Reliability는 문항 난이도 추정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해석됩니다:

1. 계산 공식

 2. 해석 기준표

 

범위 해석 실무적 조치
0.9 이상 우수한 문항 분리 신뢰도 추가 문항 개선 불필요
0.8~0.89 양호한 신뢰도 주의 깊은 모니터링 권장
0.7~0.79 수용 가능하나 제한적 해석 필요 표본 크기 증가 또는 문항 재검토
0.7 미만 신뢰성 부족 데이터 수집 절차 전면 재점검 필요
 

3. 세부 해석

  • 0.9+: 문항들이 응답자 능력 분포를 명확히 구분(예: 상/중/하 3단계 이상)
  • 0.8~0.89: 2-3개 수준의 구분 가능(예: 상/하 구분)
  • 0.7 미만: 문항 난이도 추정치가 불안정 → 표본 크기 2배 증가시 신뢰도 ≈ 1 - (1-원본)/2

4. 주의사항

  1. Cronbach's α와의 차이:
    • Item Reliability: 문항 위치 추정 정확도
    • Cronbach's α: 검사 전체의 내적 일관성
  2. 표본 크기 영향:
    500명 이상 표본에서 일반적으로 0.8 이상 달성 가능
  3. 다차원성 검증 필요:
    높은 신뢰도라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으로 단일 차원성 확인 필수
728x90
반응형